므낫세의 신학 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므낫세의 신학 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84)
    • 주일설교(مواعظ أسبوعية، Arabic .. (95)
    • 일반서적 (18)
    • 신학서적 (58)
    • 전도용 아랍어 영상 (4)
    • 일상 (2)

검색 레이어

므낫세의 신학 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한국조직신학회

  • 요한 웨슬리의 그리스도론 정리 (김영선 교수)

    2020.04.21 by noruboy

  • [기독론] 윤철호, 신약성서의 그리스도론 소논문 요약

    2020.04.10 by noruboy

요한 웨슬리의 그리스도론 정리 (김영선 교수)

책 이름: 그리스도론(Christology) 웨슬리의 그리스도론 발제자: 김영선 (협성대학교) I. 들어가는 말 그리스도에 대한 물음은 초기 교회 시대의 물음으로 끝나지 않고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물리칠 수 없는 물음으로 남아있다. II. 그리스도론과 구원론의 관계 구원과 성화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웨슬리의 성화론은 “그리스도 중심의 삶”이다. 웨슬리가 말하는 성화는 신자가 매 순간마다 주를 의지하는 그리스도 중심의 생활에서만 가능하다. 성화는 그리스도와 끊임없는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생활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III. 신이며 인간이신 예수 그리스도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의 결합에 대한 웨슬리의 입장은 1563년에 채택된 영국교회의 39개조 종교 강령의 제2조를 미감리교회에 그대로 적..

신학서적 2020. 4. 21. 03:15

[기독론] 윤철호, 신약성서의 그리스도론 소논문 요약

책 이름: 그리스도론(Christology) 출판사: 한국조직신학회 집필자 윤철호 교수의 약력 장로회 신학대학원(M.Div.) 미국 Princeton 신학교(Th.M.) Northwestern 대학교 & Garrett Evangelical 신학교(Ph.d) 신약성서의 그리스도론 신약성서는 단지 역사적 예수에 대한 가치중립적 관점에서의 전기적 기술이 아니다. 그리고 단지 저자와 초기 교회의 구원론적 열망의 신화적 투사도 아니다. 신약 성서 안에는 다양한 그리스도론적 관점이 드러난다. 최초 시기의 교회에서 어떻게 그리스도론의 문제가 기능론적 차원에서 존재론적 차원으로 발전되어 갔는지를 밝혀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개연성을 추론하는 것은 가능하다. 바울서신 바울의 그리스도론 형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신학서적 2020. 4. 10. 23:51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므낫세의 신학 이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