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낫세의 신학 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므낫세의 신학 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84)
    • 주일설교(مواعظ أسبوعية، Arabic .. (95)
    • 일반서적 (18)
    • 신학서적 (58)
    • 전도용 아랍어 영상 (4)
    • 일상 (2)

검색 레이어

므낫세의 신학 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도미닉크로산

  • 유튜브 영상 ‘기독교 1000년사 제2부’ 리뷰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회심)

    2020.06.06 by noruboy

  • M.보그와 톰라이트의 역사적 예수 이해 비교 (이정배, 감신대 교수)

    2020.05.02 by noruboy

유튜브 영상 ‘기독교 1000년사 제2부’ 리뷰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회심)

youtu.be/S9WT5Xc_N30 세속주의 관점에서 기독교의 발흥사를 요약한 유튜브 영상 이 유튜브 영상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바로 기독교의 공인에 가장 직접적인 역할을 한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회심이다. 그가 등장하기 전인 서기 303년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자신이 태양신 아폴로의 말을 들었다고 주장했다. 아폴로는 기독교라는 새 신앙이 로마에 창궐하는 것에 분개했다. 그래서 기독교도를 죽이는 박해가 시작되었다. 그는 지중해 연안에서 기독교를 일소하려고 한 것이다. 그러나 대 박해가 있은 지 10년도 안되어 기독교가 로마 제국을 석권한다. 어떻게 팔레스타인에서 시작된 종교가 로마제국과 유럽을 강타한 것일까? 기독교의 융성은 역사상 가장 놀라운 성공 사례로 볼 수 있다. 기독교는 300년도 안 되는 ..

신학서적 2020. 6. 6. 12:29

M.보그와 톰라이트의 역사적 예수 이해 비교 (이정배, 감신대 교수)

도서명: 그리스도론(Chirstology) 발제자: 이정배 (감신대 교수) I. 들어가는 글 현실 교회의 난맥상이 회자될 때마다 사람들은 초기 교회나 예수에게로 돌아가야 할 것은 희망한다. 2000년 역사를 거치면서 교회가 주는 물이 생수가 아닌 흙탕물로 변했다는 공감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돌아가야 할 곳이 초기교회인지 아니면 역사적 예수인지를 재차 묻지 않을 수 없다. 초기 공동체의 고백적 산물로서 성서는 그 자체로 역사적 예수에 대한 해석인 까닭이다. 소위 신앙의 그리스도와 역사적 예수간의 일치 여부가 현대 성서 학계의 핵심 사안이 된 것도 이점을 반영한다. A. 슈바이처와 R. 불트만을 거치면서 역사적 예수를 더는 알 수 없다는 것이 지난날의 통념이었다. 하지만 역사적 예수 없는 신앙의 그리스도..

신학서적 2020. 5. 2. 00:2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므낫세의 신학 이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